본문 바로가기

연준3

미국 금리 곡선과 경기 전망 - 재정 적자의 모순 최근 미국 금융시장은 금리와 관련해 매우 복잡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가가 충분히 내려오지 않아 연준이 금리를 쉽게 낮추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고 있다. 보통 2년물을 단기, 10년물을 장기라고 말하는데 아래 표를 보면 1년 전에는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어서 '단기>장기'였다. 현재는 우리가 익숙한 '장기>단기' 형태로 돌아오긴 했는데, 그 차이가 한달 전 대비 더 벌어진 상황인거다. 장단기 금리차의 의미장단기 금리차는 대표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에서 2년물 국채금리를 뺀 값으로 계산한다. 이는 단순한 금리 차이가 아니라 경기 전망과 시장 심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보통 두 가지 경우가 있다.장단기 금리차 확대 (Yield Curve Steepening)→ 장기.. 2025. 7. 17.
본원통화와 광의통화 - 통화량의 흐름과 연준의 역할 이해하기 요즘 신문도 보고 책도 읽다보니 '돈'이라는 것에 대해 너무 몰랐던 것 같다. 특히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을 와닿게 이해하려면, 국가 경제를 운용하는 주체들이 어떻게 돈을 쓰고 돌리는지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통화의 종류, 경제 주체별 돈의 흐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연준이 국채를 직접 사지 못하는 이유까지 공부해보았다. 통화의 종류와 개념통화는 크게 본원통화(MB, Monetary Base)와 광의통화(M2)로 나뉜다.본원통화(MB)는 중앙은행이 직접 만들어낸 돈이다. 시중에 풀린 현금과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치해 둔 지급준비금을 합친 개념으로, 경제에서 씨앗처럼 작용한다. 본원통화가 뿌려져야 경제 전체의 통화량이 더 크게 불어나기 때문이다. 광의통화(M2)는 실제로 민간이 경.. 2025. 7. 12.
6월 23일 미국 제조업 서비스업 PMI 및 주택판매 발표 결과 - PMI 50의 의미 및 다른 경기 지표와 비교 어제 밤에는 (6월 23일) 미국 제조업 PMI, 서비스업 PMI, 기존주택판매 3가지 지표가 발표되었다. 이번에는 각 지표의 의미와 결과 해석, PMI 조사·계산 방법, 그리고 투자자와 금리 예측 관점에서 다른 지표들과 비교 정리해 보았다. 1. 어제 발표된 3대 지표 의미 및 결과 해석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6월 예비치의미: 공장·제조업 구매 관리자 대상 설문 기반의 경기 체감 지수결과: 52.0 (예측 51.1 / 이전 52.0)해석: 50 이상은 경기 확장 → 예상보다 좋았고, 전월과 동일하게 확장세 유지②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6월 예비치의미: 금융, IT, 의료 등 서비스업의 체감 경기 측정결과: 53.1 (예측 52.9 / 이전 53.7)해석: 예상보다 약간 좋.. 2025.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