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앙은행2

본원통화와 광의통화 - 통화량의 흐름과 연준의 역할 이해하기 요즘 신문도 보고 책도 읽다보니 '돈'이라는 것에 대해 너무 몰랐던 것 같다. 특히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을 와닿게 이해하려면, 국가 경제를 운용하는 주체들이 어떻게 돈을 쓰고 돌리는지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통화의 종류, 경제 주체별 돈의 흐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연준이 국채를 직접 사지 못하는 이유까지 공부해보았다. 통화의 종류와 개념통화는 크게 본원통화(MB, Monetary Base)와 광의통화(M2)로 나뉜다.본원통화(MB)는 중앙은행이 직접 만들어낸 돈이다. 시중에 풀린 현금과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예치해 둔 지급준비금을 합친 개념으로, 경제에서 씨앗처럼 작용한다. 본원통화가 뿌려져야 경제 전체의 통화량이 더 크게 불어나기 때문이다. 광의통화(M2)는 실제로 민간이 경.. 2025. 7. 12.
글로벌 경제를 흔드는 세 가지 힘 - 금리, 적자, 그리고 디지털 달러 미국 국채금리 상승: 시장의 경고 신호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단순한 금리의 변화가 아닌, 세계 금융시장 전반의 변화를 알리는 중요한 신호다. 국채금리는 미국 정부가 시장에서 자금을 빌릴 때의 비용을 의미하며, 이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국채 수요가 줄어들거나 공급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이는 곧 정부의 재정적자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재정적자가 커지면 미국 정부는 더 많은 국채를 발행해야 하고, 시장에 쏟아지는 국채 물량이 많아질수록 투자자들은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된다. 동시에, 투자자들이 미국의 미래 인플레이션이나 재정 건전성에 의문을 품는 경우에도 국채를 덜 선호하게 되고, 그 결과로 금리는 상승한다.이러한 금리 상승은 미국 내 기업의 자금조달비용 증가, 주택담보대출금리 상승.. 2025. 5. 23.